아이는 끊임없이 움직이고, 집중력이 부족하며, 쉽게 산만해집니다. 부모는 아이를 바라보며 ‘혹시 내 아이도 ADHD일까?’ 하는 걱정을 하게 됩니다. 아이의 행동이 단순한 활발함인지, 아니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(ADHD)인지 구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. ADHD는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뇌의 발달과 관련된 신경학적 장애이므로 정확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어린이 ADHD의 유형, 원인, 치료 방법 및 예방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1. 어린이 ADHD의 주요 유형
ADHD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
- 주의력 결핍형(ADHD-I, 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)
- 쉽게 집중하지 못하고, 실수를 자주 함
-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, 완수하지 못하는 경우 많음
- 물건을 자주 잃어버림
- 주의가 산만하고, 생각이 자주 흐트러짐
- 과잉행동-충동형(ADHD-HI, Predominantly Hyperactive-Impulsive Type)
-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움직임
-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고 참을성이 부족함
- 질문이 끝나기 전에 먼저 대답함
-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지나치게 활동적임
- 복합형(ADHD-C, Combined Type)
-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
- 학업 및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이 많음
2. 어린이 ADHD의 원인
ADHD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,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 유전적 요인: 가족 중 ADHD를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발생 확률이 높아짐
- 뇌 기능 이상: 전두엽의 기능 저하,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
- 환경적 요인: 조산, 저체중 출생, 임신 중 흡연이나 음주, 납 노출 등의 환경적 요인
3. 어린이 ADHD 치료 방법
ADHD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, 행동 치료, 인지 치료로 나뉩니다.
(1) 약물 치료
가장 많이 사용되는 ADHD 치료제는 **중추신경 자극제(stimulant)**이며, 대표적으로 메틸페니데이트(Methylphenidate)와 암페타민(Amphetamine) 계열의 약물이 있습니다. 이러한 약물은 주의력과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.
연구에 따르면, 약물 치료를 받은 ADHD 아동은 70~80%의 효과를 보이며, 집중력 및 행동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습니다(Kollins et al., 2009).
그러나 부작용으로 식욕 저하, 불면증, 두통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처방이 필요합니다.
(2) 행동 치료
- 긍정적 강화법: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즉시 칭찬하고 보상을 제공
- 구체적인 지시: 아이가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명확한 지시 제공
- 일관된 규칙 설정: 예측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아이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
(3) 인지 치료 및 심리 상담
- 인지 행동 치료(CBT):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도움
- 사회 기술 훈련: 친구들과의 원활한 관계 형성을 위한 대인관계 기술 교육
4. ADHD 예방 및 관리 방법
ADHD를 완벽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, 위험 요인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.
(1) 임신 중 건강 관리
- 임신 중 흡연, 음주, 약물 복용을 피하기
- 균형 잡힌 영양 섭취 및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
(2) 유아기 환경 조성
- 정해진 생활 패턴 유지 (수면, 식사, 놀이 시간 일정하게 유지)
- 과도한 스마트폰, TV 시청을 피하고, 신체 활동을 늘리기
-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증가
(3) 학령기 ADHD 관리
- 학습 환경을 조용하고 집중하기 좋은 곳으로 조성
- 할 일을 작은 단계로 나누고 하나씩 완료하도록 지도
- 꾸준한 신체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긍정적으로 발산할 기회 제공
5. 부모의 역할과 지원
ADHD 아이를 둔 부모는 인내심을 가지고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아이의 강점을 찾아 칭찬하기
- 비교보다는 아이의 성장을 지켜봐 주기
- 전문가 상담 및 부모 교육 프로그램 참여
ADHD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 부모와 주변의 지지가 아이에게 가장 큰 힘이 될 것입니다.
'심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쪽쪽이를 언제 떼야하는지 궁금하다면 확인하세요!(노리개젖꼭지 떼는 시기,방법) (0) | 2025.03.11 |
---|---|
아이 애착 인형, 몇 살까지 허락해야 할까? ( 부모가 알아야 할 모든 것) (0) | 2025.03.01 |
아이 손톱이 걱정 되신다면 꼭 확인하세요!(손톱 물어 뜯는 이유, 예방) (0) | 2025.02.28 |